Showing posts with label Mac.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Mac. Show all posts

맥북 파일 이름 일괄 변경 방법

사진 작업 하다 보면 파일 이름을 일괄로 변경하고 싶을때가 있습니다.

맥북에서는 

  1. 일단 파인더로 파일들이 있는 폴더로 들어갑니다.
  2. 변경할 파일들을 선택합니다. (전체선택이면 command + a)
  3. 그런 다음에 control + 우클릭 후 이름변경 클릭
  4. 이름변경에서 포맷을 선택하고 변경을 하면 됩니다.

맥북 도커 설치 Mac docker install

  1. 아래 링크 클릭하고 들어가서 자신의 맥에 맞는 도커 설치 파일 다운로드
  2. 다운로드 받은 Docker.dmg 더블클릭
  3. 아래와 같은 팝업이 뜨면 그림 처럼 드래그 앤 드롭으로 이동
  4. 런치패드로 가서 도커 실행
  5. 터미널을 열고 docker -v 하면 설치된 도커 버전 확인 가능

맥북 주피터노트북 기본 브라우저 변경 방법

맥북에서 아나콘다를 설치하면 주피터노트북이 기본으로 설치가 됩니다.

주피터노트북은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동작이 되는데

맥북에서는 기본적으로 사파리에서 주피터노트북이 구동이 됩니다.

근데 아마도 크롬 부라우저에서 주피터노트북을 사용하기 원하시는 분들도 있을겁니다.

(예를들어 chromedriver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주피터노트북의 설정을 변경하는 방법입니다.

다음과 같이 config 파일을 수정하여 브라우저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 cd ~/.jupyter/
$ vi jupyter_notebook_config.py

# 만약 jupyter_notebook_config.py 파일이 없으면 아래 명령으로 생성
$ jupyter notebook --generate-config

# jupyter_notebook_config.py 파일에 아래 내용 추가
c.NotebookApp.browser = 'open -a /Applications/Google\ Chrome.app %s'

맥북에서 Unreal Engine 설치시 Xcode 관련 에러 해결 방법

터미널 열고

cd /Applications

sudo xcode-select -s /Applications/Xcode.app



chromium 크로미움 빌드하기 2

지난 포스트 : chromium 크로미움 빌드하기 1



3. Build 하기

소스코드가 잘 fetch가 되었으면 src라는 디렉토리가 생성이 된다.

src 디렉토리로 이동해서 다음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면 빌드가 시작된다.

chromium은 빌드 도구로 ninja를 이용하는데

이 ninja를 설정하는데 사용하는 도구가 gn이다.

gn gen out/Default 이 명령을 실행하면 .ninja 파일들이 생성이 된다.


$ cd src

$ gn gen out/Default

$ ninja -C out/Default chrome



4. 빌드 빠르게 하기

그러나 위와 같이 빌드를 하면 시간이 엄청나게 오래걸릴 것이다.

빌드를 빠르게 하고 싶다면

ninja -C out/Default chrome 명령 수행전에

다음과 같이 args.gn을 설정해주면 된다.

$ gn args out/Default

위의 명령을 수행하면 out/Default/args.gn 파일이 생성된다.

아 파일을 vim 같은 편집기로 열고 다음과 같은 설정을 적어주면 빌드를 훨씬 빠르게 할 수 있다.

$ cat args.gn
# Build arguments go here. Examples:
   is_component_build = true
   is_debug = false
   symbol_level = 0
# See "gn args <out_dir> --list" for available build arguments.





* 참고 
https://chromium.googlesource.com






맥에서 git 명령 탭 자동완성 방법

  1. 아래 링크에서 git-completion.bash 파일을 다운로드 한다.
    • https://github.com/git/git/blob/master/contrib/completion/git-completion.bash
  2. 다운로드 받은 파일을 자신의 계정의 홈디렉토리에 복사한다.
    • $ cp git-completion.bash ~/
  3. ~/.bash_profile 파일에 아래의 명령을 추가한다.
    • source ~/git-completion.bash








맥에서 grep 색깔 설정

맥에서 그냥 grep을 하면 찾고자 하는 단어에 따로 색깔이 표시되지 않는다.

이때는 다음과 같은 명령을 수행하면 된다.

물론 이 명령은 $ vim ~/.bash_profile에 추가해 놓으면 편하다.

export GREP_OPTIONS="--color=auto"




맥북 brew install node 설치

맥북에 node 설치하는 방법 정리합니다.

저는 brew를 사용합니다.

$ brew update
$ brew upgrade
$ brew install node
$ brew link node

만약 link시 에러가 발생하면
$ brew link --overwrite node

삭제하고 싶으면
$ brew uninstall node

node가 잘 설치되면
$ /usr/local/bin에 node라고 link가 생성됨

다음 명령으로 node version 확인인
$ node -v

참고로
brew 사용중에 문제가 생기면
$ brew doctor

위의 명령을 수행하면 수정해야할 것들을 친절히 알려줍니다.






맥북 언어 설정 변경 방법

아마도 개발자들은 OS를 영어로 사용하는 것이 편리할 것이다.

좌측 상단 사과 -> 시스템 환경설정 -> 언어 및 지역 메뉴를 클릭하면

아래 이미지와 같은 창이 뜨고

Preferred languages: 부분에서 변경하고자 하는 언어를 최상위로 위치키면 된다.


맥북 파인더(FINDER) 대체 패스파인더(PATH FINDER)

출처 : http://www.cocoatech.com/pathfinder/



맥북에는 파인더라는 파일탐색기(?)가 기본으로 설치가 되어있습니다. 

물론 이 기본앱도 훌륭하지만 뭔가 좀 아쉽습니다. 

그래서 이것저것 알아보다가 설치하게 된것이 바로 패스파인더입니다.

영문 이름은 'PATH FINDER'입니다. 

다음 사이트에 가면 30일 체험판을 받을 수가 있습니다. 

http://www.cocoatech.com/pathfinder/

가격이 39.95 달러이므로

바로 구매하지는 말고 조금 사용해보고 구입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Mac 맥북 서식 없이 복사 붙여넣기

맥북에서 복사 붙여넣기를 할때

command + c로 복사한 후

shift + option + command + v로 붙여넣기를 하면

서식 없이 붙여넣기가 됩니다.










Mac Xcode Theme 테마 변경

Xcode의 기본 흰바탕에서 코딩을 하면 눈이 많이 아프다ㅠㅠ

google에서 Xcode theme로 검색을 하면

여러가지 테마들이 많이 나온다.

테마 파일을 받고

아래 경로에 복사한후

~/Library/Developer/Xcode/UserData/FontAndColorThemes

Xcode를 재실행한다.

Preferences...->Fonts&Colors 에 들어가면 방금 설치한 테마의 이름이 보일 것이다.

맥북 hosts 파일 위치

OS X 10.2 이상부터는

/etc/hosts 파일을 사용하면 된다.




맥북 사파리 새로고침(reload 리로드) 단축키

윈도우에서는 F5를 누르면 인터넷 새로고침이 된다.

근데 맥북의 사파리에서는 아무리 F5를 눌러보아도 인터넷은 새로고침이 되지 않는다.

맥북의 사파리에서 인터넷 새로고침 단축키는

command + r 이다.


Brew를 이용한 Macbook Package 관리

우분투에서 주로 개발을 하다가 맥북을 사용하게 되었다. 

맥북에도 shell이 있으니 우분투의 apt-get install 처럼 패키지를 관리할 수 있을것 같은데 어떻게 하면 될까?

여기저기 검색해보니 MacPorts라는게 많이 쓰였는데 요즘은 brew가 평이 좋은것 같다.

brew를 설치하는 방법은

터미널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된다.

ruby -e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master/install)"

사용 방법은 공식 홈페이지에 잘 나와있으므로 그곳을 참고하면 된다.

소스코드 에디터 Sublime Text

윈도우에서는 Notepad++를 정말 잘 사용하고 있다.

군더더기 없는 디자인에

내가 사용하고자 하는 기능들이 다 있어서

Notepad++외에 다른 에디터는 눈에 들어오질 않았다.

근데 맥을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어떤 에디터를 사용해야할지 방황을 좀 했다.

물론 IDE는 Xcode나 이클립스로 충분하지만

가볍게 쓸 에디터가 필요했다.

그러다 여기저기서 sublime text라는 에디터를 추천하는 것을 보았다.

설치해서 사용해보니 깔끔하긴 한데

기본의 에디터와 약간 컨셉이 달라서 사용하기 좀 어려운 면이 있다.

그래서 이번에 sublime text의 사용법을 간단히 정리해 보고자 한다.

1. 다운로드 : http://www.sublimetext.com/2

2. Terminal에서 사용하도록

보통 개발자들은 터미널에서 명령어 입력해서 사용하는 걸 좋아한다.(아닌가 ㅋㅋ)

$sudo ln -s /Applications/Sublime\ Text\ 2.app/Contents/SharedSupport/bin/subl /bin/subl

다 아는 것이 겠지만 이렇게 심볼릭 링크를 걸어서 사용하면 된다.

3. Package

가장 중요한 기능이라고 생각한다.

그냥 행으로 Sublime Text를 사용하면 많이 답답할 수 있지만

유용한 패키지들을 설치하면

아주 훌륭하게 Sublime Text를 변신시킬 수 있다.

Package는 쉽게 말해 이클립스의 Plugin과 유사하며

확장 기능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Mac] 맥북 액정 보호 Radtech Screensavrz




작년말 맥북프로레티다 13인치를 구입했습니다.

아무래도 고가의 제품이다 보니

모니터를 보호하고 싶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오래 사용하다 보면 모니터에 키보드 자국이 생길지도 모른다는 불안함도 있었습니다.

그래서 여기저기 알아보고 구매한것이

사진의 천쪼가리(?) 입니다.

RADTECH 라는 회사의 Screensavrz 라는 제품입니다.

홈페이지에 가면 자세한 정보가 있구요.

http://www.radtech.us/products/notebookscreensavrz

우리나라에서는 구하기가 힘들어 해외직구를 하였습니다.

천이 매우 부드럽고 얇아서 모니터에 어떠한 상처도 생기지 않을 것 같습니다.

강추합니다.

from my photo blog : http://classichrome.tistory.com/13










[Mac] 맥북 Screen Capture 화면 캡쳐

맥북에서 화면 캡쳐하는 방법입니다.

- 원하는 영역만 캡쳐      :  shift + command + 4
- 원하는 창 영역만 캡쳐  :  shift + command + 4 + space
- 모니터 전체 영역 캡쳐  :  shift + command + 3


























[Mac] 맥북 Xcode로 C/C++ Console Application 개발하기

얼마전 맥북을 구입하고 윈도우나 리눅스에서처럼 의례 이클립스를 설치했다.

그러던 와중에 아이폰 앱 개발용으로만 생각했던 Xcode로 C/C++ 개발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Xcode 실행 -> File -> New -> Project로 들어가서 Command Line Tool을 선택한다.



2, 그리고 아래 화면에서 Language를 C 또는 C++로 선택한다.


위와 같이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C/C++로 Console Application을 만들 수 있다.

[Mac] Set Terminal Color 맥북 터미널 색상 설정

Add the below lines to the ~/.bash_profile

export TERM="xterm-color"
export CLICOLOR=1
export LSCOLORS=ExFxCxDxBxegedabagacad